탕구리's 블로그

DomainName과 HostName 본문

Conception/Computer Network

DomainName과 HostName

탕구리당 2020. 3. 7. 00:46
반응형

몇일전, 일을 하며 네트워크에 관련된 설정을 해야하는 상황이 있었다.

나는 내가 가진 지식에 대해 확신이 별로 없는편(?)이기 때문에, 뭔가를 해야하는 상황이 오면

곧 잘 뇌정지가 오곤하기 때문에...도메인 네임과 호스트네임에 대한 개념과 관련하여 뇌정지가 오기 시작했다.

 

 

이게 바로 어피치의 덜덜덜

 

그래서 다시는 헷갈리지 않도록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려 한다. 부끄럽다..

 

우선, 도메인네임(DomainName)이란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키며, 좁은 의미에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한다.

 

무슨말이냐 하면, 우리가 네트워크상에서 원하는 호스트를 가리키는 이름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네이버를 예를 들면, 네이버 메인 페이지는 naver.com라는 도메인 주소를 갖죠?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 해당 주소를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각각의 도메인 영역을 관리하는 DNS서버에 요청을 보내서 해당 주소가 가르키는 위치가 어디인지 확인하여 반환하여 줍니다. DNS서버의 작동 과정을 자세하게 보시려면 여기를 방문해 주세요.

 

호스트 네임(Hostname, NodeName)이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에게 부여되는 각각의 고유한 이름입니다.

우리가 도메인 주소를 생성하고 나면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별도의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네이버 메일 서비스의 경우 mail.naver.com이라는 주소를 사용하고 네이버 웹툰의 경우 comic.naver.com 이라는 주소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mail과 comic은 naver.com이라는 도메인 네임에서 각각의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호스트 네임입니다.

 

즉,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안에서 아이피 주소가 아닌 별칭(호스트네임과 같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네임과 IP를 관리해주는 테이블이 필요합니다.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라우터)를 통해 대상지에 대한  IP와 호스트 네임을 관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별로의 호스트네임을 등록해주두고 IP 주소가 아닌 호스트네임을 통해 ssh 접속을 하거나 ping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