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Swagger-ui
- 모두의캠퍼스
- #스웨거
- AWS
- javascript
-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 #api 문서화
- React.js
- SRE
- 쿠버네티스
- #Swagger-codegen
- 북딜
- Reducer
-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 Kubernetes
- 프로세스 통신
- Redux
- ecs
- #Swagger-editor
- IP
- 모캠
- action
- 카카오게임즈
- React
- server
- docker
- 기술PM
- #Swagger
- 프로세스
- fluentd
반응형
Archives
- Today
- Total
반응형
목록DevOps (1)
탕구리's 블로그

어느날 점심시간이었나? 팀장님이 나에게 그런말을 해주셨다. "혹시 SRE라고 들어봤어? 우리팀 업무가 그쪽과 비슷한거 같으니 그 쪽으로 커리어를 쌓아보는건 어때?" 물론 나는 SRE란 단어를 처음들어봤다. 그리고 바로 검색(호다다닥)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는 사이트 신뢰성 엔지니어라고 한다. 소프트웨어 기술을 인프라 및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다. 물론 평소에도 "인프라와 운영" 정말 관심이 많고 재밋게 공부하고 있는 분야이다. 처음 기술PM이라는 직군에 지원하게 된 것도 두 가지 영역 모두에 흥미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렇다면 SRE의 역할은 정확히 무엇일까? 사전적인 의미는 이렇다 사이트 신뢰성 공학(Site Reliability ..
일상생활
2020. 7. 20. 23: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