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모캠
- ecs
- #Swagger-editor
- Reducer
- React
- 북딜
- #Swagger-ui
-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 Kubernetes
- 모두의캠퍼스
- 프로세스
- fluentd
- docker
- SRE
- 카카오게임즈
- React.js
- #Swagger
- javascript
- #api 문서화
- 쿠버네티스
- action
- Redux
- 기술PM
- 프로세스 통신
- server
- #스웨거
- AWS
-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 #Swagger-codegen
- IP
- Today
- Total
목록port (2)
탕구리's 블로그

틈틈이 쿠버네티스 관련 서적들을 읽어가며 학습을 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단순히 읽고 예제를 따라가는 속도보다 블로그에 포스팅을 위해 글을 작성하고 정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다 보니 포스팅이 굉장히 미뤄지는 듯한 느낌입니다 제가 다 게을러서 생기는 일 입니다. 흑.. 반성을 해야겠어요. 오늘은 무작정 따라가기만 바빳던 예제는 잠시 그만두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 설정하는 포트에 대한 종류를 한번 짚고 넘어가는 포스팅을 작성하겠습니다. 1. 서비스에서는 어떤 포트 설정을 사용할까? 서비스 설정에서는 어떤 포트를 사용하고 어떻게 설정을 진행 할까요? //nodeport-service.yaml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nodeport-service sp..

제4 계층의 프로토콜은 뭐가 있을까? 제 4계층의 프로토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정확성을 우선시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과 신속성을 우선시하는 UDP(User Datagram Protocol)입니다. TCP에서는 두 노드 간 세션의 확립을 위해 3-way-hanshake 과정이 이루어지고, 세션 종료 시 4-way-handshake 과정을 통해 세션을 종료합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패킷은 송신과 수신에 대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패킷이 정확히 전달되었는지 정확히 취득하였는지 지속적인 환인을 진행합니다. 이렇게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TCP는 주로 웹, 메일, 파일 공유 등 적확한 데이터의 전송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서 사용합니다. 이에 반해 UDP에서는 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