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avascript
- React.js
-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 Kubernetes
- React
- IP
- 프로세스
- 북딜
- action
- 모두의캠퍼스
- #Swagger-codegen
- Reducer
- Redux
- ecs
- 카카오게임즈
- 기술PM
- 모캠
-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 #Swagger
- server
- #스웨거
- #Swagger-ui
- #api 문서화
- 프로세스 통신
- AWS
- SRE
- docker
- 쿠버네티스
- #Swagger-editor
- fluentd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6)
탕구리's 블로그
시작하기 전에 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일을 하다 우연히 사용하게된! Node.js의 mysql 모듈 중, 트랜잭션(Transacation)을 관리하는 기능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재밋게 읽어주세요!우선, 글을 읽으려면 알아갈 주제에 대해서 지식을 쌓고 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오늘 포스팅할 트랜잭션에 대해 알아봅시다! 트랜잭션(Transaction) 이란?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일어나는 하나의 단위" 이다. 우리는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때..
시작하기 전에 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AWS를 이용한 운영 서버 관리 2편 입니다. (짝짝짝) 이번 시간에는 ASG( Auto Scaling Group) 와 ELB( Elastic Load Balancer )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ASG와 ELB가 무엇인지 알아야 할테니 시작하겠습니다. ASG( Auto Scaling Group) 란? Auto Scaling 이란, 자동으로 서버 인스턴스에 대해 크기(Scale)을 관리해주는 기능입..
시작하기 전에! 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 포스팅의 주제는 제목에서도 볼 수 있지만, "AWS를 이용한 서버 운영 관리"를 주제로 제가 들은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 할 예정입니다. 이게 어떻게 보면.. 강의 정보 유출(?) 같은게 되는건지.... 저는 그냥 복습을 위해 작성하는 거긴한데 기분이가 조금 찝찝하기도 하네요. 시작! 해보겠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서버 아키텍처 1. 단일 서버 구조 가장 단순하고 구성하기 쉬운 구조입니다.하나의 서버안에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것이 올라가 있습니다. ..
DB Index-ing 란? "RDBMS에서 검색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 이라고 생각하면 편해요. 테이블 컬럼에 대해 색인(Index)를 부여하여 빠르게 검색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DB에 대해 SELECT 절을 수행할 때 Full Scan(테이블 데이터의 처음 부터 끝까지 모두 검색하는 방법) 을 수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Index를 선언해 놓은 경우 작성된 Index파일을 통해 좀 더 빠르게 검색이 가능해 집니다. 기본적으로 B-Tree구조를 통해 데이터를 Index를 수행하며, 각 DB Engine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Indexing 방법이 다릅니다. 쉽게말해!우리는 한권의 책에서 필요한 정보만 얻고자 할 때, 앞 혹은 뒤에있는 책의 목차를 찾아보면. 색인이란 이름으로 정렬된..
시작하기 전에 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REST API란? 1. HTTP를 통해 SOAP나 쿠키를 통한 세션 트래킹같은 별도의 전송계층 없이 전송하기 위한 아주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프로토콜이 아니다) 2. 기존의 Web application이 Service 중심이었다면 Rest는 Resource중심이다. 3. Resource 중심으로 설계하며 CRUD에 해당하는 HTTP의 4가지 메소드( POST, GET, PUT, DELETE)를 이용한다. *SOAP(simple Object A..
시작하기 전에 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Crypto 모듈을 이용한 기초적인 단방향 암호화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거의 처음으로 Node.js 관련 포스팅을 해보네요! 업무를 진행하며(그래봤자 신입입니다) Session 관련 업무를 맡게되어 보안적인 측면에도 신경을 쓰기위해(!)공부하던 도중 Crypto 모듈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을 읽던 도중 정리해두면 편리할 꺼 같아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암호화란?간단하게 생각하면 내가 가진 정보를 다른사람이 알아보지 못하게 "난독화" 혹은 "나만..
쿠키(Cookie) HTTP 쿠키(웹 쿠키, 브라우저 쿠키)는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으로, 브라우저는 그 데이터 조각들을 저장하고 동일한 서버로 다음 요청 시 함께 전송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두 요청이 동일한 브라우저에서 왔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쿠키는 상태가 없는 HTTP 프로토콜에서 상태 기반 정보를 기억합니다. 쿠키의 동작 방식 쿠키는 무슨 정보를 담을까?1. name : value => 쿠키의 이름과 쿠키 값2. expire : date => 쿠키가 만료될 기간3. path : serverPath => 쿠키가 보내질 서버의 URL 정보4. domain : serverDomain => 클라이언트에 ..
프로세스 관리하기 1. 리눅스 프로세스 :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개념, 하드디스크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적재된다. 프로세스 기본 정보는 (1) PID, (2) UID, (3) GID (4) 파일 디스크립터 (1) PID(Process ID) : 프로세스 시작 시 할당되는 유일한 프로세스 식별 번호(2) UID(User ID) : 프로세스를 소유하는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번호, 프로세스에 대한 사용자 권한을 알 수 있음(3) GID(Group ID) : 그룹 식별 번호(4) 파일 디스크립터 : 프로세스 읽기/쓰기 위해서 어떤 파일을 결고 있는지, 파일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 기록 2. 프로세스 확인하기 ps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가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보여..
리눅스 파일 관리하기 리눅스에서는 파일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영상, 디렉터리 정보, 네트워크 소켓, 자료의 흐름, 시스템 장치까지도 파일로 처리합니다.1. 리눅스에서 파일의 대,소문자 구별은 엄격합니다.2. . 파일 이름은 최대 256자 까지 가능하며, 공백을 포함한 특수문자를 사용 가능( 하지만, 특수문자 사용은 지양합니다.) 파일 정보 확인하기파일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은 ls [옵션] [파일]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옵션 -l : 파일의 형태, 파일의 소유권과 허가권, 파일 크기, 파일을 최종적으로 변경한 날짜와 시간을 알려준다.-a : 숨겨진 파일까지 보여줍니다. * ( '.' 현재디렉터리를 의미합니다, '..' 상위디렉터리를 의미합니다, '.'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숨김파일을 의미합니다.) 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