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wagger-editor
- React
- #Swagger-codegen
- 기술PM
- AWS
- #Swagger
-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 프로세스 통신
- #Swagger-ui
-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 React.js
- IP
- 북딜
- server
- #스웨거
- Reducer
- 프로세스
- 쿠버네티스
- javascript
- SRE
- Kubernetes
- #api 문서화
- ecs
- docker
- 모두의캠퍼스
- fluentd
- Redux
- 모캠
- action
- 카카오게임즈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6)
탕구리's 블로그
시작하기 전에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네트워크 서비스 2편 DNS 서버에 관한 내용입니다. DNS 또한 DHCP와 같이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서비스인데요. DNS 서버는 무슨역할을 하는지, 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어떤 과정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간단한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 실시간으로 DNS를 실시간으로 갱신해주는 DDNS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 보겠습니다 DNS 란?DNS의 풀 네임은 Domain Name Server 입니다. DNS는 네트워크에서..
현재 일하고 있던 직장에서의 퇴사날짜가 정해졌어요. 저는 대학생 정보공유 플랫폼 "모두의캠퍼스"에서 서버 개발 및 인프라 관리를 담당했어요. 아무 실력도 없는 졸업도 하지 못한 애송이(?)가 사수도 없는 스타트업 개발자로 들어와 철야를 밥먹듯이 하며, 팀원들과 소중한 추억들도 많이 쌓고 재밋었는데 너무 아쉬워요 :( 근무를 하는 기간 동안은 정말 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개발했는데, 결과가 이렇게 되니(팀 해체..) 마음이 좋지 못해요 ㅠㅜㅡㅜㅠㅜㅠㅜㅠㅜ 팀원들 모두 정말 좋은 분들이었는데 그래도 직접 개발한 서비스를 통해 생각보다 많은 사용자들의 이용을 잠시나마 도울 수 있었다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현재 내가 얼마나 부족한지, 얼마나 나태하게 시간을 보냈었는지도 직접 실감할 수 있었습니..
시작하기 전에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네트워크 개론편" 네트워크 서비스 입니다. 네트워크 서비스가 무엇인지, 네트워크 서비스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서비스?서비스란 서버가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들 간의 파일을 공유하거나 프린터를 공유하는 것도 이런 서비스의 하나에 속합니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컴퓨터가 자신을 자원을 공유하거나, 네트워크 전체를 원활하게 관리 및 운영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D..
시작하기 전에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1. NIC =>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확장포트 2. LAN 케이블 =>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3. 허브 => LAN 케이블의 집선 장치로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합니다.4.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기기입니다. 기본적으로 Ehternet의 경우 네트워크가 이루어지 위해서는 이렇게 4..
시작하기 전에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바로 전글에서 다뤘던 HTTP는 무엇인가요?에서 언급했던 3-way-handshake와 4-way-handshake 입니다. HTTP 요청이 발생하기 전 준비되는 과정과 HTTP 통신이 종료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 3-way? 4-way? http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두 노드간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3-way-handshake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지고,세션 종료를 위해 4-wa..
시작하기 전에 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HTTP가 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WWW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입니다. 주로 HTML 문서를 주고 받는곳에 쓰이며, TCP와 UDP를 사용합니다. 포트는 80포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는 v1.0 v1.1 그리고 현재는 v2.0 까지 나왔습니다. HTTP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 TCP/IP위에서 작동합니다. HT..
시작하기 전에 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Node.js v11.5.0 공식 Document에 있는 Stream API에 대한 내용입니다.스트림과 버퍼에 대해 아직 잘 모르겠다 싶으신 분은 제가 지난 시간에 작성했던 "스트림과버퍼"에 관한 글을 통해 글을 읽고 오시면 좀 더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그럼 이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Nodejs - stream아래는 node.js v11 공식 document에 있는 Stream에 대한 설명입니다. 스트림은 Nod..
시작하기 전에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스트림과 버퍼입니다. 이미지에 관련된 작업을 하다가 스트림과 버퍼에 대한 개념이 많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아서 개념을 한번 되짚어볼 기회가 생겨 정리를 하게 되었습니다. 최대한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노력했으니 재밋게 읽어주세요! 스트림과 버퍼! 스트림이란?스트림이란 배열이나 문자열 같든 데이터 컬렉션을 말하며, 자료를 입출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프로그램과 입출력 장치 사이에서 입출력 자료들을 중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시작하기 전에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핫한 번들러 Webpack입니다. React를 공부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Webpack을 접하게 되었고,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보니까 알아보게 되었어요. 자의보다는 타의가 더 강했지만, 언제나 새로운 지식을 배워가는건 재미있고 흥미로운거 같아요. Wepack이 왜 핫한 번들러가 되었는지 기본적인 사용법이 어떻게 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웹팩(webpack)에 대해 알아보자!SPA(Single Page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