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웨거
- #api 문서화
- IP
- #Swagger-codegen
- 모두의캠퍼스
- javascript
- React.js
- 모캠
- #Swagger-ui
- docker
- React
- ecs
- action
- AWS
- 프로세스 통신
- Redux
- server
-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 fluentd
- Kubernetes
- 기술PM
- 카카오게임즈
- Reducer
- 프로세스
- 북딜
- 쿠버네티스
- SRE
- #Swagger-editor
- #Swagger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6)
탕구리's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pOWP/btqF7uT8Psg/sGAcb7qha9DxmqlW9vGrwk/img.png)
정규식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다. 요즘은 로그스태시(Logstash)와 플루언트디(Fluentd)를 만 질 일이 부쩍 많아져서 필요한 로그를 원하는 형태로 파싱하기 위해 만지작거릴 일이 많아졌다. 그러다 보니 정규식을 짤때마다 항상 머리를 싸매고 매번 문법을 찾아보는 것이 너무 불편해서 이참에 기본적인 문법을 정리해두고 자주 들여다보려고 한다. 그럼 시작합니다! 우선 정규식이 뭔지 알아야 할테니 간단히 정리해보자 정규식이란? 정규 표현식(正規表現式, 영어: regular expression, 간단히 regexp 또는 regex, rational expression) 또는 정규식(正規式)은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이다. 위키를 찾아보며 아주 명료하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uucHY/btqF3SOZFOy/ONQQZ2jvlWqhGuM2kpYCm1/img.jpg)
글로벌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준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매우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런저런 자료들을 보면서 내용을 정리해보려 해요! 우선, 큼지막한 요소들을 나누어 볼 건데 기술직군 관점에서 글로벌 서비스를 준비하기 위해 고려해봐야 하는 요소들이 뭐가 있을까요? 간단하게 생각나는 것들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아요. 1. 클라이언트 관련 부분 2. 서버 관련 부분 기본적으로 게임 서비스이던 웹 서비스이던 서비스의 종류와 관계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입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이용하게 될 클라이언트 부분과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 및 각종 로직을 처리해주기 위한 서버 부분에 대해 생각해보려 합니다. 제가 생각해본 각각의 요소들 중에서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어떤 부분들을 고려해서 보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uHE9/btqFPHtAxZG/ew1WAwgXgyRD3mrueU6pEk/img.png)
어느날 점심시간이었나? 팀장님이 나에게 그런말을 해주셨다. "혹시 SRE라고 들어봤어? 우리팀 업무가 그쪽과 비슷한거 같으니 그 쪽으로 커리어를 쌓아보는건 어때?" 물론 나는 SRE란 단어를 처음들어봤다. 그리고 바로 검색(호다다닥)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는 사이트 신뢰성 엔지니어라고 한다. 소프트웨어 기술을 인프라 및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다. 물론 평소에도 "인프라와 운영" 정말 관심이 많고 재밋게 공부하고 있는 분야이다. 처음 기술PM이라는 직군에 지원하게 된 것도 두 가지 영역 모두에 흥미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렇다면 SRE의 역할은 정확히 무엇일까? 사전적인 의미는 이렇다 사이트 신뢰성 공학(Site Reliability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lx5a/btqFbksERhm/wBaUuwKKsjUssKza9dw5y0/img.png)
안드로이드 앱을 스토어에 배포하는 과정에서 APK와 AAB라는 용어를 들을 수 있다. APK는 파일 확장자이며, AAB는 "Android App Bundle"의 줄임말이다. APK 일반적인 APK는 APK 파일 하나를 통해 많은 디바이스의 호환을 지원한다. 그렇다 보니 APK 자체에 여러개의 ABI(Anroid Binary Interface)를 포함하게 되며, APK 파일의 크기는 커질 수 밖에 없다. APK 파일이 커지는 경우 스토어를 통해 앱을 다운받는 사용자에게 안좋은 경험을 제공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나도 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받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면 굉장히 짜증이 나기 때문에 안좋은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은 빼도박도 못하는 사실이라는 생각이 든다. 앱 번들 APK의 용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GIIf/btqESWxiuEw/ecNqUgq24lrKFrXN8Jcrdk/img.png)
** 해당 도서를 구매하며 학습해보며 내용을 정리하는 목적으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 문제가 되는 경우 말씀해주시면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중에서도 오늘은 "Replication Controller와 ReplicaSet"에 대해서 정리를 진행하려 합니다. "#4 컨트롤러 개념 정리"에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 Replication Controller와 ReplicaSet은 stateless 한 컨테이너를 관리합니다.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Replication Controller)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는 쿠버네티스 프로젝트 초기부터 있었던 컨트롤러입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는 파드를 관리하며 파드의 개수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합니다. 예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TYzM/btqEQ7yLudI/RfwzGeIwLg4wtFV8kelDkk/img.png)
틈틈이 쿠버네티스 관련 서적들을 읽어가며 학습을 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단순히 읽고 예제를 따라가는 속도보다 블로그에 포스팅을 위해 글을 작성하고 정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다 보니 포스팅이 굉장히 미뤄지는 듯한 느낌입니다 제가 다 게을러서 생기는 일 입니다. 흑.. 반성을 해야겠어요. 오늘은 무작정 따라가기만 바빳던 예제는 잠시 그만두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 설정하는 포트에 대한 종류를 한번 짚고 넘어가는 포스팅을 작성하겠습니다. 1. 서비스에서는 어떤 포트 설정을 사용할까? 서비스 설정에서는 어떤 포트를 사용하고 어떻게 설정을 진행 할까요? //nodeport-service.yaml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nodeport-service s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3MhC/btqEFDGQll4/dBLRRZqGK1a8RGhHj0ZnAk/img.png)
** 해당 도서를 구매하며 학습해보며 내용을 정리하는 목적으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 문제가 되는 경우 말씀해주시면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컨트롤러? 파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목적에 따라 쿠버네티스에서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사용하면 된다. 쿠버네티스에서 제공하는 컨트롤러의 종류로는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레플리카 세트", "디플로이먼트", "데몬" , "스테이트풀세트", "크론잡" 등이 있다. 각각의 컨트롤러를 용도에 맞게 정리해보면! 일반적으로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되는 파드를 관리하는 경우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Relication Controller) - 레플리카 세트(Replica Set) -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클러스터 전체에 배포가 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VVBB/btqEh6WWloL/xNuFc5RIwFzUnBFq2soMx1/img.png)
** 해당 도서를 구매하며 학습해보며 내용을 정리하는 목적으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 문제가 되는 경우 말씀해주시면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파드(Pod)란 무엇인가..? 파드란 실제로 마스터와 연결된 노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입니다. "엥?! 무슨 소리? 컨테이너가 최소 단위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파트의 경우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묶어서 관리하게 되고 쿠버네티스에서는 파드를 작업 수행의 최소 단위로 구분합니다. 파드를 구성하는 컨테이너가 단일인 경우에는 물리적으론 단일 컨테이너가 작업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마스터 노드, 워커 노드에 대한 기본적인 작업(join)이 되어 있는 경우 워커노드에 파드를 구동할 수 있는 기본 예제입니다. 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TuVR/btqDSiPsm7v/VHORY2PJ8KyoeDcbm1S9G0/img.png)
RPC란 무엇일까? RPC(Remote Procedure call)이란, 별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코딩 없이 다른 주소 공간에서 리모트의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세스간 통신입니다. 즉, 위치에 상관없이 RPC를 통해 개발자는 위치에 상관없이 원하는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를 공부하다 보며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해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이용하는 내용을 볼 수 있는데요, RPC는 IPC 방법의 한 종류로 원격지의 프로세스에 접근하여 프로시저 또는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기존에는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해 소켓통신, RPC 같은 방식이나 RPC를 활용한 CORBA, RMI 같은 방식을 많이 사용했다면 현재는 웹기술의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