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쿠버네티스
- #Swagger-editor
- #Swagger
-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 기술PM
-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 #Swagger-codegen
- AWS
- React
- javascript
- Reducer
- fluentd
- 북딜
- ecs
- Redux
- 모두의캠퍼스
- 프로세스
- IP
- docker
- SRE
- #api 문서화
- 카카오게임즈
- server
- #Swagger-ui
- 모캠
- Kubernetes
- 프로세스 통신
- #스웨거
- React.js
- action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6)
탕구리's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ycn8/btqydA9yE8l/FSJ8PScAXkelC5bjYUFOYk/img.jpg)
오늘의 주제 안녕하세요~! 오늘의 주제는 카카오 게임즈 면접 후기입니다. 네! 면접보고 왔어요, 저번에 면접보고 와서 그런지 첫 면접 때 보단 뭔가 부담 없이 볼 수 있었습니다. 계속 서버 개발 직군으로 지원을 하다가 이번엔 기술 PM으로 지원했습니다. 근데 막상 지원하고 보니 기술 PM이 무슨 역할이고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많이 없어서 준비하는데 애 좀 먹었습니다. 현재는 1차 면접을 통과하고 2차 면접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말 다행이에요 얼른 백수탈출하고 싶네요 :) 기술 PM은 무슨일을 할까? 채용 공고에 나와있던 기술 PM 직군에 대한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게임 회사에만 존재하는 특이한 직군인 거 같고, 기본적으로 모든 직군의 담당자와 소통을 진행하면서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GkuS/btqxaFqhcYG/cdxjK1B1pJSoG4wCRkerS0/img.png)
SSL (Secure Socket Layer) & HTTPS SSL은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이며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통신 상대를 인증함으로써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그렇다면 HTTPS는 무엇일까요? HTTPS는 HTTP over SSL의 약자로 HTTP 통신을 SSL로 암호화하여 이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버에서는 SSL을 이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이용합니다.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OpenSSL과 Window Server에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는 IIS가 있습니다. SSL은 어떻게 보안을 유지하는 방식 SSL에서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합니다. "암호화", "메시지 다이제스트", "디지털 증명서"입니다. 암호화 과정은 도청을 방지하고, 메시지 다이제스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IIjXL/btqxbdUy35T/TgnQpkDydMndjpH4zwIOIk/img.png)
제4 계층의 프로토콜은 뭐가 있을까? 제 4계층의 프로토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정확성을 우선시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과 신속성을 우선시하는 UDP(User Datagram Protocol)입니다. TCP에서는 두 노드 간 세션의 확립을 위해 3-way-hanshake 과정이 이루어지고, 세션 종료 시 4-way-handshake 과정을 통해 세션을 종료합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패킷은 송신과 수신에 대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패킷이 정확히 전달되었는지 정확히 취득하였는지 지속적인 환인을 진행합니다. 이렇게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TCP는 주로 웹, 메일, 파일 공유 등 적확한 데이터의 전송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서 사용합니다. 이에 반해 UDP에서는 데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q4hN/btqw7Qe0TBD/kcjbRoKjy0GVGfDl6XtNJ1/img.png)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는 MAC 주소와 IP 주소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연결이란 의미를 한번 생각해보면, 우리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해 제3 계층을 지나 패킷을 만들고 되고 이 패킷의 헤더에는 출발지 IP 주소와 목적지 IP 주소를 담아줍니다. 출발지가 누구고 목적지가 어디인지는 Application 계층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헤더를 만드는 과정에서 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제3 계층을 통해 내려온 패킷이 제2 계층에서 프레임을 만드는 경우는 어떨까요? 프레임의 이더넷 헤더에는 출발지의 MAC 주소, 목적지의 MAC 주소를 추가해주게 됩니다. 출발지의 MAC 주소는 호스트의 NIC에 적혀있는 MAC 주소를 통해 알 수 있지만 목적지의 M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OQdoY/btqw9N2g25n/4xPnl92kSWIn0xsv0DnxaK/img.png)
라우터는 무슨 역할을 하나요? 바로 이전 글 "스위칭(Switching) - 이더넷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서 이더넷 네트워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라우터는 이렇게 이더넷을 통해 구성된 네트워크들을 연결시켜주는 네트워크 계층(L3) 장비입니다. 라우터는 미리 만들어 놓은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합니다. 라우터가 수행하는 패킷 전송을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목적지 네트워크와 목적지 네트워크로 가기 위해 보내 할 곳의 IP의 주소(넥스트 홉: next hop)를 관리합니다. 라우터가 패킷을 받게 되면 라우팅 테이블의 조회를 통해 목적지를 파악하고 존재하는 IP 주소인 경우 전송합니다. 하지만 라우팅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목적지인 경우 패킷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RhTN/btqw8A3kc1z/777xIVwI3sS7ZAzQnr2lH0/img.png)
이더넷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이더넷은 "스위치"라는 네트워크 기기를 중심으로 컴퓨터를 배치해 스타형 토폴로지의 연결 형태를 채택한다. 스위치는 다량의 LAN 포트를 가지고있는 2 계층 네트워크 기기입니다. 유선 LAN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를 연결하게 되면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LAN을 구성하게 됩니다. 스위치 동작 방식 LAN 케이블을 통해 스위치로 프레임이 들어오면 스위치는 "LAN 포트번호"와 프레임을 보낸 기기의 "MAC 주소" 통해 MAC 주소 테이블을 작성합니다. 데이터 전송 시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정확한 목적지를 찾아 전송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프레임의 전송을 막고 네트워크 통신 효율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스위치를 통해 수행하는 프레임 전송을 "스위칭"이라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TvS1/btqw85Py3oh/NcqXRwQGTBYfJNAR1EQmhK/img.png)
이더넷( Ethernet) 제가 이해한 이더넷이란,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 중 하나가 이더넷입니다. 전 세계 90프로 이상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이더넷을 이용합니다. 이더넷은 제3계층(네트워크 계층)으로 부터 받은 데이터(패킷)에 프레임의 처음을 나타내는 "프리앰블(preamble)"과 목적지(수신자)와 출발지(송신자)를 나타내는 헤더, 비트 오류 체크에 사용하는 "FCS(Frame Check Sequence)"를 추가하여 프레임을 만듭니다. 또한 이더넷에서는 "MAC 주소"를 이용하여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해 줍니다. MAC 주소 그렇다면 "MAC 주소"는 무엇일까? MAC 주소는 48 비트로 포현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구분합니다. MAC 주소는 8비트 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xzDH2/btqw5gEsq7i/mQ1g9OuBDNhvek9xNQNeH0/img.png)
오늘의 주제 동하! 안녕하세욘-! 면접 때 받았던 질문을 하나하나 곱씹어보며 답변이 부족했던 부분에 대해서 차근차근 정리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점"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 거 같던데 저는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구분한 이유"에 대해서 질문을 받았습니다. 잘못들은 줄 알았어요.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기에.. 근데 그냥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점을 차근차근 설명했으면 어느 정도 제 질문에 대한 답변도 됐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두 부분에 대해서는 이런이런 차이점이 있고, 맞는 용도에 따라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라는 식의 답변 말이죠? 말이 너무 길어졌네요. 이제 프로세스와 스레드가 무엇인지 본격적으로 알아봅시다. 프로세스(process) 란? 프로세스란 ? "OS가 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yYqOx/btqw2mruZPL/HKkUo2tPSIaxHLxR6t2wl0/img.png)
오늘의 주제 오늘은 이직을 준비하며 처음으로 지원했던 버드뷰(화해)에 대한 면접 후기를 적어볼 예정입니다! 저는 백앤드 직군에 지원을 하였고, 경력은 1년6개월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실력은 신입이랑 비슷... 처음으로 면접을 보게 되어서 그런지 엄청 긴장되고 떨렷어요. 듣던 대로 사내 분위기가 굉장히 좋아 보였습니다. 웃음소리도 많이 들리고 면접 끝나고 나갈때는 탁구치는 소리도 들었던거 같아요 ㅋㅋㅋㅋ 일하게 되었으면 정말 재밋게 일 할 수 있었을꺼 같은데, 아쉽게도 저는 불합격을 받았습니다! 제 실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도 느낄 수 있었고 앞으로 어떻게 공부 진로를 잡아야 할 지도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근데 이거 막 이렇게 적어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문제가 있으면 연락주세요. 지원 경로는 이러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