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wagger-ui
- fluentd
- IP
-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 모두의캠퍼스
- server
- #Swagger-codegen
- 프로세스 통신
- #Swagger
- React.js
- 쿠버네티스 컨트롤러
- #api 문서화
- javascript
- Redux
- 카카오게임즈
- 프로세스
- 모캠
- #스웨거
- action
- Reducer
- React
- 쿠버네티스
- AWS
- 기술PM
- SRE
- Kubernetes
- docker
- ecs
- 북딜
- #Swagger-editor
- Today
- Total
목록DNS (2)
탕구리's 블로그

몇일전, 일을 하며 네트워크에 관련된 설정을 해야하는 상황이 있었다. 나는 내가 가진 지식에 대해 확신이 별로 없는편(?)이기 때문에, 뭔가를 해야하는 상황이 오면 곧 잘 뇌정지가 오곤하기 때문에...도메인 네임과 호스트네임에 대한 개념과 관련하여 뇌정지가 오기 시작했다. 그래서 다시는 헷갈리지 않도록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려 한다. 부끄럽다.. 우선, 도메인네임(DomainName)이란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키며, 좁은 의미에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한다. 무슨말이냐 하면, 우리가 네트워크상에서 원하는 호스트를 가리키는 이름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네이버를 예를 들면, 네이버 메인 페이지는 naver.com라는 도메인 주소를 갖죠? ..
시작하기 전에해당 블로그에 작성되는 글은 주인장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다수이며,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옳지않은 정보가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덧글을 남겨주세요! 모르는게 많은 새싹입니다 오늘의 주제오늘의 주제는 네트워크 서비스 2편 DNS 서버에 관한 내용입니다. DNS 또한 DHCP와 같이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서비스인데요. DNS 서버는 무슨역할을 하는지, 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어떤 과정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간단한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 실시간으로 DNS를 실시간으로 갱신해주는 DDNS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 보겠습니다 DNS 란?DNS의 풀 네임은 Domain Name Server 입니다. DNS는 네트워크에서..